먼저 들어가기에 앞서,
보안쪽 특히, CCTV/DVR 설치 환경에 대한 부분을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는데, 이런한 기술들이 나오게 된 배경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를 하면, 먼저 각 기기에 공급해야 하는 전원 케이블이 필요하고, 카메라의 줌/포커스 등 동작 제어를 위한 RS485케이블, 그리고 영상 전송을 위힌 동축케이블(아날로그) 또는 이더넷 케이블을 설치해야 하는 공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설치 공사에 투입되는 비용의 절감과 설치의 간편성을 잡기 위해 하나의 케이블로 전원과 영상데이터, 컨트롤 신호를 보낼 수 없을까 고민하다 나온게 POE, POC, COC라는 기술이다.
그렇다면 어떠한 기술일까? 이하 2곳의 출처에서 잘 설명하고 있으니, 참조할 것.
- One Cable Solution - PoC/CoC
One Cable Solution - 동축 케이블을 통한 카메라 전원공급과 제어
One Cable Solution을 사용하면 DVR이 동축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전원공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DVR은 동축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에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카메라의 모든 OSD 메뉴제어가 가능하며, 오토 포커스를 지원하는 카메라 모델에 대해서는 줌/포커스, 원터치 오토포커스(One-push auto focus) 기능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One Cable Solution 기능은 현장에서의 쉬운 설치 뿐만 아니라, DVR이나 CMS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감시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용을 지원합니다.
PoC (Power over Coax)
최고 성능의 PoC DVR 제품은 동축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PoC 카메라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는 전원공급을 위한 추가적인 장비나 공사없이 간단히 설치될 수 있습니다. 또한, PoC 또는 Non-PoC 카메라의 자동인식, 채널별 과전류 알람과 차단 기능, PoC 동작상태의 표시를 지원합니다.
PoC DVR과 PoC 카메라 사이의 비디오 전송 거리에 대해서는, 웹게이트가 성능을 보장하고 공급하는 5C-HFBT 케이블을 통해 최대 200m까지 HD-SDI의 영상전송이 가능하며, 200m 이상의 전송이 필요한 현장에는 PoC 리피터인 RP101P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RP101P는 PoC 기능을 지원하는 리피터로써 PoC DVR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사현장에서 설치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습니다.
·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DVR로 부터 카메라의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입니다.
· 따라서, 카메라는 별도의 전원공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CoC (Control over Coax)
PoC 기능과 더불어 카메라의 제어도 동축 케이블을 통해 수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카메라 제어를 위한 별도의 RS485 제어라인 연결이 불필요하며, PoC 카메라의 OSD 메뉴제어, 펌웨어 업그레이드 및 전동 줌렌즈가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 모델들에 대해서는 줌/포커스 조정 및 원터치 자동초점(One-Push Auto Focus) 기능을 동축 케이블을 통해 지원 합니다. 또한, PTZ 돔과 같이 소비전력이 큰 카메라 제품의 경우에는 RP101P와 연동하여 PoC 기능을 배제하고 CoC 기능만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입니다.
· 따라서, 별도의 RS485 선로공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OSD메뉴 제어, 줌/포커스 제어, 카메라 펌웨어의 업그레이드와 같이 손쉬게 카메라의 유지/관리가 가능합니다.
별도전원이 필요없는 PoC 리피터의 활용
HD-SDI 비디오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리피터 설치 시에 별도의 전원공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oC 솔루션을 이용한 HD-SDI 비디오 전송
· 5C-HFBT (또는, RG-6) 규격의 동축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한 개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HD-SDI 비디오의 전송거리는 최대 200m 입니다.
· 웹게이트의 PoC HD DVR은 RP101P 2대와 PoC HD 카메라를 연결하여 최대 600m까지의 비디오 전송이 가능합니다.
CoC 기능만의 활용
PTZ 돔과 같이 DVR로부터 카메라 전원공급이 불가능한 장비는, 다음과 같이 CoC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oE란 무엇입니까? (이더넷 전원 장치, Power over Ethernet)
이더넷 전원 장치(PoE)는 IEEE 802.3af 및 802.3at 표준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킹 기능입니다. PoE를 사용하면 기존 데이터 연결 상에서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PoE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장비(PSE) 또는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PD)를 의미하며, 때때로 두 가지 모두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전력을 전달하는 장치는 PSE이고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는 PD입니다. 대부분의 PSE는 네트워크 스위치이거나 PoE가 아닌 스위치와 함께 사용하는 PoE 인젝터입니다. PD의 대표적인 예로는 VoIP 전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IP 카메라 등이 있습니다.
PoE의 장점은 무엇입니까?
- PoE는 전력과 데이터 전송에 하나의 케이블만 사용하므로 네트워킹 장비와 VoIP 전화를 위한 케이블을 구입하고 관리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너무 비싸거나 불편해서 새 전선을 설치하기 어려운 건물의 경우 PoE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설치와 확장이 간편하고 저렴해집니다.
- PoE를 사용하면 전원을 설치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장소, 예를 들면 달아 맨 천장(drop ceiling)과 같은 곳에 장치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 또한, 복잡한 장비실 또는 배선실에 필요한 케이블과 전기 콘센트 수가 줄어듭니다.
PoE+란 무엇입니까?
PoE의 최신 버전은 PoE+로 알려진 IEEE 802.3at 표준입니다. 802.3af(PoE)와 802.3at(PoE+)의 주요 차이점은 PoE+ PSE는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거의 두 배 더 많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PoE+ PSE는 PoE와 PoE+ PD 모두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지만 PoE PSE는 PoE PD에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PoE+ PD에는 PoE PSE가 제공할 수 있는 양보다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합니다.
PoE 장치는 전력을 얼마만큼 공급할 수 있습니까?
PoE+ 장치는 포트당 최대 30와트를 공급할 수 있으며 PoE 장치는 포트당 최대 15.4와트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케이블 길이 때문에 언제나 일부 전력이 손실됩니다. 케이블이 길수록 손실되는 전력량도 많아집니다. PD에서의 최소 보장 전력은 PoE의 경우 포트당 12.95와트, PoE+의 경우 포트당 25.5와트입니다.
또한 PSE에는 한꺼번에 PD에 공급할 수 있는 총 전력량을 의미하는 최대 전력 예산이 있습니다(와트 단위로 측정). 대부분의 PSE에는 모든 PoE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포트에 최대 전력을 공급할 만큼 충분한 전력 예산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그만큼 많은 전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oE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PSE를 구입할 때, 연결하려고 하는 모든 PD에 필요한 전력 예산을 신중하게 계산하십시오.
PoE 등급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PoE와 PoE+로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에는 필요한 전력량에 따라 0~4 등급이 지정됩니다. PD를 PSE에 연결하면, 해당 등급이 PSE에 전달되어 PSE가 정확한 양의 전력을 PD에 공급할 수 있게 됩니다. 등급 1, 등급 2, 등급 3 장치에는 매우 적은 전력, 적은 전력, 중간 전력이 각각 필요합니다. 등급 4(PoE+) 장치에는 매우 많은 양의 전력이 필요하며 PoE+ PSE와만 호환됩니다. PoE 분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en.wikipedia.org/wiki/Power_over_Ethernet#Standard_implementation을 참조하십시오.
등급 0 장치는 제조업체로부터 제대로 등급을 지정받지 못한 장치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PSE는 등급 0 장치가 실제로 거의 전력을 소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등급 0 장치에 등급 3 장치와 동일한 전력량을 할당해야 합니다. 하지만, NETGEAR PoE+ 스위치 신형 모델을 사용하면 PD 등급에 상관없이 전력 상한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은 장치 등급에 따라 이론적으로 전력을 할당하지 않고 사용자가 정의한 전력 한도를 기초로 다른 PD에 전력을 할당하므로 전력 예산 낭비가 감소됩니다.
네트워크에 PoE 장치와 PoE가 아닌 장치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까?
한 네트워크에서 PoE 장치를 PoE가 아닌 장치와 함께 사용할 수 있지만 PoE가 아닌 장치는 PD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PSE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없습니다. PoE가 아닌 장치에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합니다.
PoE 표준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어디에서 얻을 수 있습니까?
PoE 표준 및 실행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en.wikipedia.org/wiki/Power_over_Ethernet을 참조하십시오.
PoE와 PoE+를 포함하는 IEEE 이더넷 표준은 http://standards.ieee.org/about/get/802/802.3.html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출처 1 : www.webgateinc.com/wgi/kor/tech/note.php?svc_name=tech_note&page=&ptype=view&idx=18
웹게이트 - No.1 통합 영상보안 솔루션
No.1 통합 영상보안 솔루션 - 웹게이트
www.webgateinc.com
PoE란 무엇입니까? (이더넷 전원 장치, Power over Ethernet) | Answer | NETGEAR Support
이더넷 전원 장치(PoE)는 IEEE 802.3af 및 802.3at 표준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킹 기능입니다. PoE를 사용하면 기존 데이터 연결 상에서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습니
kb.netgear.com
'보안카메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H.264와 H.265 차이 (0) | 2021.08.02 |
---|---|
CCTV에서 UTC(Up The Coaxial) 란? (0) | 2021.07.29 |
enfyCam2 애드온 카메라 - 한번 충전으로 365일 사용 (0) | 2020.09.28 |